1. ISA 계좌란?
ISA는 예금, 적금, 펀드, 주식 등 다양한 금융상품을 하나의 계좌에서 운용할 수 있는 종합 계좌입니다.
‘만능통장’이라고도 불리며, 일정 한도 내 수익에 대해 세금이 면제되거나 감면됩니다.
- 가입 대상: 국내 거주자(15세 이상, 근로·사업소득자)
- 납입 한도: 연 2,000만 원, 최대 1억 원
- 세금 혜택:
- 일반형: 수익 중 200만 원 비과세
- 서민형·농어민형: 수익 중 400만 원 비과세
- 초과분은 9.9% 저율 과세(일반 금융소득세 15.4%보다 낮음)
- 의무 가입 기간: 최소 3년
2. IRP 계좌란?
IRP는 ‘개인형퇴직연금’으로, 퇴직금이나 개인이 납입한 금액을 퇴직 후 연금 형태로 수령하는 제도입니다.
퇴직연금이 없는 직장인, 자영업자도 가입할 수 있습니다.
- 가입 대상: 근로자, 자영업자, 공무원 등
- 납입 한도: 연 1,800만 원 (세액공제 한도는 연 900만 원, 연금저축 합산 시 700만 원)
- 세금 혜택:
- 납입액의 13.2~16.5% 세액공제(소득에 따라 다름)
- 운용 수익은 과세이연 → 인출 시 연금소득세(3.3~5.5%) 부과
- 의무 가입 조건: 55세 이후 연금 수령 가능, 중도 인출 시 기타소득세 부과
3. ISA vs IRP 핵심 비교
ISA 계좌 | IRP 계좌 | |
목적 | 단기~중기 투자, 세금 절감 | 노후 자금 마련, 세금 절감 |
세제 혜택 | 수익 비과세·저율 과세 | 납입액 세액공제, 과세이연 |
납입 한도 | 연 2,000만 원 (최대 1억) | 연 1,800만 원 |
운용 상품 | 예금, 적금, 펀드, 주식, ETF 등 다양 | 예금, 채권, 펀드, 일부 ETF |
의무 가입 기간 | 최소 3년 | 55세 이후 인출 가능 |
인출 자유도 | 3년 후 자유 인출 | 55세 이전 중도 인출 시 불이익 |
4. 장단점 비교
ISA 장점
- 운용 자유도 높음 (주식·ETF 포함)
- 단기·중기 재테크에도 활용 가능
- 수익 비과세 혜택
ISA 단점
- 세액공제 없음
- 3년 의무 가입 기간 존재
IRP 장점
- 세액공제 혜택으로 연말정산 환급 가능
- 운용 수익 과세이연 효과
- 안정적 노후 자금 마련 가능
IRP 단점
- 55세 이전 인출 제한
- 운용 상품 제한(주식 직접투자 불가)
5. 2025년 활용 전략
- ISA 활용:
- 주식·ETF 투자 수익 비과세 혜택
- 3년 후 자금 자유 인출 가능 → 중기 자금 마련에 적합
- IRP 활용:
- 연말정산 세액공제 극대화
- 장기 투자로 복리 효과 + 노후 대비
- 연금저축과 병행 시 세액공제 한도 확대 가능
6. 어떤 사람에게 어떤 계좌가 맞을까?
- ISA 추천:
- 단기·중기 자금 운용 목적
- 주식·ETF 투자 계획이 있는 사람
- 목돈이 필요할 때 자유롭게 인출하고 싶은 사람
- IRP 추천:
- 세액공제 혜택을 극대화하고 싶은 직장인
- 장기적인 노후 자금 마련 목적
- 55세 이후까지 장기간 자금 묶어둘 수 있는 사람
ISA와 IRP는 모두 세금 혜택을 주는 강력한 재테크 도구이지만, 목적과 구조가 다릅니다.
ISA는 자유로운 투자와 중기 자금 운용에, IRP는 안정적인 노후 자금 마련에 특화되어 있습니다.
2025년 현재 금리와 세법 환경에서는 두 계좌를 병행해, 단기·중기·장기 자금을 모두 세제 혜택 아래에서 운용하는 전략이 가장 효율적입니다.